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일상 속 작고 큰 거절들을 기록해보기

by 인포리엔 2025. 7. 10.

거절은 단순한 말 한마디가 아니라, ‘나’를 지키는 수많은 작은 선택들의 결과다.
최근 나는 내 일상 속에서 해왔던 거절들을 돌아보았다. 순간은 작았지만, 그 선택들이 쌓여 지금의 나를 만들었다.
오늘은 그 흔적을 조심스럽게 정리해려고 한다.

일상 속 작고 큰 거절들을 기록해보기
일상 속 작고 큰 거절들을 기록해보기

나는 이런 제안을 거절했다 – 일상의 작은 ‘아니요’들

하루를 살아가며 우리는 생각보다 많은 제안을 마주한다.
“점심 같이 먹자”, “이번 주말에 모임 있어”, “이것 좀 대신 해줄 수 있을까?”
예전의 나는 늘 ‘응’이라고 말했었다. 거절은 관계를 해치는 것 같았고, 부담스러웠다. 그런데 어느 순간부터 ‘이건 내 에너지를 너무 소모하게 해’라는 판단이 생겼다.
그래서 나는 아래와 같은 일상적인 제안을 거절했다.

-업무시간 외 요청된 자료 수정

-감정적으로 힘든 사람의 반복된 하소연 청취

-원하지 않는 점심약속

-당일 갑작스러운 약속 잡기

-무료 재능기부 요청

거절을 선택하는 순간은 여전히 망설여진다. 하지만 그 이후의 감정은 점점 가벼워졌다.
이런 소소한 ‘노(no)’들이 모여 나의 하루를 지키고, 나를 덜 소모하게 만들어주었다.

 

거절의 순간, 나에게 남았던 감정들

거절은 단순히 입 밖에 내는 행위가 아니다. 그 이후에 따라오는 복잡한 감정들이 있다.
나는 종종 거절한 후에 미안함, 불안함, 혹은 죄책감을 느꼈다. 특히 가까운 사람일수록 ‘내가 너무한 건 아닐까?’라는 생각이 꼬리를 물었다.
그중 가장 기억에 남는 건 친구의 조언 요청을 거절했던 날이다. 내가 너무 지쳐 있었고, 당시에는 아무 말도 듣고 싶지 않았다. 그런데 그 친구는 말할 준비가 되어 있었고, 나는 들어줄 여유가 없었다. 그래서 “오늘은 그냥 조용히 있고 싶어”라고 말한 뒤 하루 종일 마음이 무거웠다.
하지만 다음날, 친구는 고마웠다고 말했다. 내 진심을 들은 듯한 그 말에, 거절이 꼭 관계를 상하게 하진 않는다는 걸 배웠다.
감정은 순간의 파도처럼 지나간다. 거절한 자신을 다정하게 바라보는 연습이 필요하다는 걸 이 과정을 통해 배웠다.

 

나만의 거절 기준이 생기기까지

계속해서 거절의 경험을 쌓다 보니, 어느 순간 나만의 기준이 생기기 시작했다.
단순히 싫다고 모두 거절하는 것이 아니라, ‘내 시간과 감정의 여유’, ‘상대와의 관계의 무게’, ‘내가 그 일에 들일 수 있는 진심’ 등을 스스로 점검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누군가의 요청이 나의 일과 리듬을 심하게 흔드는 경우, “지금은 어렵지만 다음에 여유 있을 때 도와줄게”라고 말한다.
그리고 내 기준은 이렇다.

-‘예스’가 나에게 억울함을 남기지 않는가?

-이 요청이 나의 감정과 시간을 지나치게 침범하지 않는가?

-도움을 주었을 때 진심이 실릴 수 있는가?

이 질문에 ‘아니오’가 있다면 나는 이제 주저 없이 거절한다.
기준이 생기고 나서, 나는 관계에서 더 안정감을 느낀다.
거절은 감정의 즉흥이 아니라, 지속 가능한 나를 만들기 위한 전략이 되어버렸다.

 

내가 거절했던 순간들을 돌아보니, 그것은 단순한 단절이 아니었다.
거절은 내가 나를 존중한 흔적이었고, 그 순간들 덕분에 나는 점점 내 쪽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앞으로도 나는 내 선택을 신중히, 그러나 두려워하지 않고 이어갈 것이다.